이슈 & 트렌드
Home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中 휴머노이드 로봇,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며 성장 가속...인재확보 경쟁도 치열
CSF 2025-01-10
☐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2024년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이족, 이륜, 사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음. 체화된 지능의 종착점으로 여겨지는 휴머노이드 로봇은 고메이트(GoMate)와 갤봇(Galbot) 등 바퀴-다리 결합형과 바퀴형으로 다양하게 공개됨. 한편, 산업의 빠른 성장세로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핵심 기술 인재는 주로 해외 명문대 출신으로 1군 제조사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이족·이륜·사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
- 2024년, 중국에서 체화된 지능(Embodied Intelligence) 열풍이 불면서 이족(二足), 이륜(二輪), 사륜(四輪) 등 다양한 형태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업계에서 '체화된 지능의 종착점'으로 여겨졌음. 산업 전반에 걸쳐 로봇의 범용성과 전문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었고, 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 과정에서 정교한 손과 같은 핵심 부품의 가격이 2년 사이 50% 인하됨.
- 2024년 말, 이족 보행이 휴머노이드 로봇의 일반적인 형태로 자리 잡았을 때, 사륜 로봇이 업계의 고정관념을 깨트림. 광저우자동차그룹(廣汽集團)은 제3세대 체화된 지능 휴머노이드 로봇 ‘고메이트(GoMate)’를 발표했는데, 이는 변형 가능한 바퀴-다리 이동 구조를 채택했음.
- 그 이전에 바퀴형과 다리형은 이미 휴머노이드 로봇의 기본 형태가 되었음. 2024년 6월, 갤봇(GALBOT)은 제1세대 바퀴형 양팔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갤봇(Galbot)을 출시했음. 바퀴형 하부와 긴 상지를 통해 약국 등 소규모 반폐쇄 공간에서 상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음. 2개월 후, 애지봇(AgiBot)은 바퀴형 휴머노이드 로봇 ‘위안정A2-W(遠征A2-W)’를 발표했고, 당시 계획 출하량은 100대였음.
- 한편, 사람과 같은 이족 형태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이미 가격 경쟁이 시작됨. 2024년 5월, 위슈과기(Hangzhou Yushu Science And Technology)는 9만9,000위안(약 1,955만 원)부터 시작하는 G1 휴머노이드 로봇을 출시했는데, 이 높이 1.27미터의 로봇은 이족으로 초속 2미터의 이동 속도를 낼 수 있음. 연말에는 엔진AI(ENGINEAI)가 이족 로봇 ‘PM01’을 출시했고, 상업용과 교육용 모두 8만8,000위안(약 1,738만 원)이었음.
- 다리가 둘인 형태, 바퀴가 둘인 형태, 바퀴가 넷인 형태 등 서로 다른 휴머노이드 로봇의 형태에는 산업 발전 초기 각 기업의 다른 기술 노선이 반영됨. 광저우자동차그룹 로봇 연구개발팀 책임자 장아이민(張愛民)은 "제품 정의가 휴머노이드 로봇 설계 전 과정의 핵심"이라며, 업계의 휴머노이드 로봇 외형이 다른 것은 제품 설계 노선의 차이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함.
◦ 2025년 상용화 임박한 中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별 접근법 '제각각'
-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긴 공급망과 복잡한 기술 스택을 가진 분야로, 지난 한 해 동안 기술 발전 경로와 상용화 적용 측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음. 키논로봇(KEENON Robot)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인 탕쉬안(唐旋)은 2024년에 몇몇 뛰어난 시제품을 볼 수 있었지만, 이는 아직 제품이라 할 수 없다고 평가했으며, 안전성과 신뢰성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지적함.
- 공급망 측면에서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음. 인스파이어로봇(Inspire Robots)의 대형고객 영업 담당자 우원뢰(吴文瑞)는 정교한 로봇 손의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2년 전과 비교해 비용이 50% 낮아졌다고 밝힘. 현재 로봇 손 한 개의 가격이 2년 전 가격의 절반인 5만 위안(약 987만 원) 수준임.
- 매직랩(MagicLab)은 2024년 12월에 휴머노이드 로봇 매직봇(MagicBot)을 출시했으며, 2025년에는 대량 생산과 현장 배치가 필수적인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음. 매직랩의 사업 책임자 우창정(吴长征)은 반구조화된 환경에서 먼저 배치하여 특정 상황에서 로봇의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방식을 선호한다고 설명함.
- 자체 개발이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사들의 필수 과정이 될 것으로 예상됨. 우창정은 핵심 부품의 자체 개발 비용이 제3자 공급업체 구매 비용보다 50~70% 저렴하다고 밝혔음. 매직봇은 이미 관절 모듈, 감속기, 정교한 손, 구동장치 등 핵심 부품을 자체 개발함.
-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현재 투자 단계에 있음. 티엘아이봇(TLIBOT)의 회장 후톈롄(胡天链)은 본체의 차이는 긍정적인 현상이며, 성숙한 휴머노이드 로봇 대규모 모델이 출현하기 전까지 100억 위안(약 1조9,759억 원) 수준의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함.
◦ 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인재 확보 경쟁 치열
-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재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인력 컨설팅 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내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의 핵심 인재는 주로 해외 명문대 출신이며, 1군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사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휴머노이드 로봇 업계의 한 헤드헌터는 핵심 기술 인재의 연봉이 100만 위안(약 2억 원) 정도이며, 이는 현금과 주식, 스톡옵션 등을 포함한 금액이라고 전함. AI 등 기술 업계의 발전 경로를 참고할 때, 휴머노이드 로봇 종사자의 급여 상승 여력이 매우 크다고 설명하였으며, 기술 기업의 최고과학자 연봉이 1,000만 위안(약 20억 원)인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언급함.
- 그러나 신흥 산업 분야인 휴머노이드 로봇 업계에서 1,000만 위안의 연봉을 제시하는 것은 선두 기업에게도 여전히 도전 과제임. 1-2년 전에는 일부 기업이 이러한 금액을 제시할 용기가 있었지만, 2024년부터는 대부분의 기업이 합리적인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음.
- 가오공(高工) 로봇산업연구소가 발표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지도(2024)'에 따르면, 2024년 전반기 10개월 동안 중국 내 휴머노이드 로봇 업계에서 최소 55건의 투자 유치가 이루어졌음. 연말에 투자 유치를 완료한 한 기업의 고위 임원은 자본이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해 "더욱 실제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전함.
[관련 뉴스 브리핑]
[참고 자료]
1. 年终盘点|人形机器人洗牌在即,顶尖人才年薪开到上千万, 2024.12.31. https://www.yicai.com/news/102424076.html
2. 广汽集团发布第三代人形机器人,计划2025年量产, 2024.12.26. https://www.yicai.com/news/102419028.html
이전글 | 中 디지털헬스케어 3사 '서비스 차별화' 가속...바이트댄스도 시장 진출 | 2025-01-10 |
---|---|---|
다음글 | [서구권] 中 항공사들, 러시아 영공 통과 이점 앞세워 유럽노선 공급 확대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