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동향세미나
Home KIEP 동향세미나
KIEP 지역연구동향 세미나 자료를 제공합니다.
[동향세미나] 최근 중국의 환율 안정 조치와 향후 전망
김홍원 소속/직책 : KIEP 세계지역연구1센터 중국팀 전문연구원 2025-01-23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1월 중국 인민은행이 역외 단기 어음 발행, 기업 및 금융기관의 역외자금조달 규제 완화 등 환율 안정 조치를 연이어 발표하였음.
- 1월 9일 역외 위안화 유동성 흡수를 위해 600억 위안 규모의 어음 발행 계획 발표
ㅇ 이번 어음은 만기를 연장하지 않고 신규 발행한 것이며, 2018년 처음 정기 발행을 시작한 이후 가장 큰 규모임.
- 1월 13일 ‘역외자금조달 거시건전성 조정계수(跨境融资宏观审慎调节参数)’를 상향 조정하여 금융기관과 기업의 역외 금융거래 한도를 늘리고 외환시장 안정을 도모
ㅇ 금융기관과 기업의 역외자금조달 상한은 자본금 또는 순자산에 역외자금조달 레버리지 비율과 역외자금조달 건전성 조정계수를 곱하여 정해짐.1)
☐ 이번 조치는 중국과 미국 간 역전된 금리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위안화 대미달러 환율이 7.3위안을 돌파한 상황에서 발표되었음(그림 1 참고).
- 2024년 내내 위안화 대미달러 환율은 7위안을 상회하였고, 최근 미국 달러 대비 위안화의 약세 기조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임.
- 특히 2022년 4월 이후 중국과 미국의 금리가 역전되고 격차가 점차 확대되면서, 금리 격차와 위안화 대미달러 환율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뚜렷해지고 있음.2)
- 중국 국내외 전문가에 따르면 올해 위안화 환율은 △ 미·중 금리 격차, △ 자본 유출, △ 미국의 관세 부과 측면에서 미국 달러 대비 약세 압력에 직면해있음.3)
ㅇ 2024년 11월 중국의 외국인 증권자금 순유출액은 월단위 사상 최대치인 457억 달러를 기록4)
☐ 중국 당국은 현재 위안화 환율이 안정된 수준이라 자평하면서도 향후 환율 안정을 위해 종합적인 정책을 취할 수 있음을 표명함.
- 1월 14일 중국 국무원이 주최한 언론브리핑에서 인민은행은 위안화 환율이 기본적으로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수준에서 안정적이라고 평가5)
ㅇ 중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 통화 바스켓에 대한 위안화의 가치를 측정하는 CFETS RMB 지수는 100 부근에서 안정적이며, 위안화는 미국 달러에 비해 약세나 다른 통화에 비해 강세임.6)
- 동시에 환율 안정을 일관되게 추구할 것이며, △ 경기 순환적 투기행위(pro-cyclical behaviours)를 바로잡고, △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행위에 단호히 대처하며, △ 오버슈팅 리스크를 방지하겠다고 강조 7)
☐ 위안화 대미달러 환율의 안정 여부는 결국 중국의 경제지표에 좌우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경기부양을 위한 완화적 통화정책 시행이 필요함.
- 중국사회과학원 금융연구소 장밍(张明) 부소장에 따르면 위안화 환율의 향방은 중국과 미국의 상대적인 경제성과(명목 GDP 성장률)에 달려있음.8)
- 중국은 디플레이션 대응과 경기 회복을 위해 경기부양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하지만 금리 인하 등 유동성 공급 조치를 쉽게 시행하기 어려운 상황임.
ㅇ 인민은행의 「2024년 3분기 통화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국내 경기순환 국면 상 경기부양 강도를 높여야 할 것이나 금리, 환율 관련 이중 제약에 직면해있음.9)
---
*각주
1) 한국은행 상해주재원(2023. 7. 20.), 「중국 금융당국의 역외자금조달 상한 상향 조정 배경」.
2) 钟正生(2025. 1. 13.), 「人民币汇率开年之变」, 『财新』.
3) 张明(2025. 1. 10.), 「如何看待当前的人民币汇率?, 『财新』; Jacky Wong(2025. 1. 14.), “China Faces Harsh Dilemma as Yuan Comes Under Pressure”, WSJ.
4) “China Capital Exodus Reaches Record Speed on Tariff Threat”(2024. 12. 17.), Bloomberg.
5) 中国人民银行(2025. 1. 14.), 「国新办举行“中国经济高质量发展成效”系列新闻发布会 介绍金融支持经济高质量发展有关情况」.
6) CFETS RMB 지수는 환율 정책의 투명성을 높이고, 달러 중심의 환율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설계됨. 2025년 1월 기준 통화 바스켓은 총 25개 통화로 구성되며, 주요 통화의 가중치는 USD(18.90%), EUR(17.90%), JPY(8.58%), KRW(8.37%), AUD(5.95%) 등임. Christophter Wong(2025), “CFETS Calibration”, OCBC Research.
7) 인민은행 판궁성 행장은 1월 13일 홍콩에서 열린 제18회 AFF의 기조연설에서 2024년 중국 경제성장률이 5% 달성가능하다고 선언하고 환율 안정에 대해 동일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시장기대를 안정시키고자 노력 PBOC(2025. 1. 13.), “Speech by Governor Pan Gongsheng at the Opening Ceremony of Asian Financial Forum”.
8) 张明(2025. 1. 10.), 「如何看待当前的人民币汇率?, 『财新』.
9) 中国人民银行(2024), 「中国货币政策执行报告 2024年第三季度」.
이전글 | [동향세미나] 중국산 전기차의 수출 부진 배경 및 전망 | 2025-02-17 |
---|---|---|
다음글 | [동향세미나] 중국, 이중용도 품목 수출 통제 법제도 정비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