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中 IT 공룡들의 AI 투자 경쟁...알리바바·텐센트 지출 약 200% 증가

안희정 소속/직책 : EC21R&C 연구원 2025-04-11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중국 주요 IT 기업들이 AI 분야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음.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경우 2024년 자본지출이 각각 725억 위안, 76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약 200% 증가함. 양사는 클라우드 인프라, 대규모 언어 모델, AI 응용 서비스 등에 집중 투자하고 있음. 기술적으로는 알리바바의 '통이' 시리즈와 '쿼크', 텐센트의 '훈위안'과 '위안바오'가 핵심 개발 대상임. 양사 모두 자체 개발 모델과 오픈소스 활용을 병행하는 전략을 취함.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단기적으로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나 광고 효율 증가, 미니스토어 거래액 증가 등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

◦ 중국 IT 기업들의 대규모 AI 투자 확대 동향
- 중국 주요 IT 기업들이 2024년 인공지능(AI) 관련 자본지출을 크게 확대함. 알리바바(Alibaba)와 텐센트(Tencent)의 2024년 자본지출은 각각 725억 1,300만 위안(약 14조 3,611억 원), 767.6억 위안(약 15조 2,138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97.04%, 221.27% 증가함.
- 특히 4분기 자본지출 규모가 급증했으며, 알리바바는 317억 7,500만 위안(약 6조 2,974억 원, 전년 동기 대비 258.76%), 텐센트는 365억 7,800만 위안(약 7조 2,439억 원, 전년 동기 대비 386%)을 기록함. 두 기업 모두 4분기 단일 분기 자본지출이 2023년 전체 자본지출 규모를 초과하는 역대 최고 수준임.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챗GPT(ChatGPT)가 촉발한 새로운 AI 물결이 향후 10년 이상의 주요 변혁 동력이 될 것이라는 인식을 방증함.
- 양사의 AI 투자는 주로 세 가지 영역에 집중되고 있음. 알리바바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AI 기초 인프라, AI 기반 모델 플랫폼, AI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기존 비즈니스의 AI 전환 등에 투자하고 있음. 알리바바 우용밍(吴泳铭) CEO는 AI 전략의 최우선 목표가 AGI(범용 인공지능) 추구라고 강조하며, "AGI의 실현은 알리바바의 첫 번째 목표“라고 언급함.
- 텐센트는 GPU 구매(광고 기술 및 게임 비즈니스 지원), 대규모 언어 모델 훈련, 클라우드 비즈니스용 GPU 서버 구매, 소비자 대상 추론 서비스 등에 자본을 투입하고 있음. 텐센트 마화텅(马化腾) CEO는 "AI 응용의 폭발적 성장 기회가 이미 도래했으며 각 산업이 AI 보급으로 혜택을 받고 근본적인 변화를 겪게 될 것"이라고 전망함.
-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 테크 대기업들도 AI 인프라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음. 2024년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아마존(Amazon), 구글(Google), 메타(Meta)의 자본지출은 각각 756억 달러(약 110조 1,567억 원), 777억 달러(약 113조 2,322억 원), 525억 달러(약 76조 5,082억 원), 373억 달러(약 54조 3,572억 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함. 올해에는 마이크로소프트 800억 달러(약 116조 5,920억 원), 아마존 1,000억 달러(약 145조 7,400억 원), 구글 750억 달러(약 109조 3,050억 원), 메타 600억 달러(약 87조 4,200억 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임. 
- 중국 기업들의 투자 규모는 아직 미국 기업들에 비해 작지만, 중국 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AI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CICC(China International Capital Corporation)는 연구 보고서에서 "미국 테크 대기업들의 지속적인 자본지출 확대가 시장 성과를 견인하는 동시에 타 산업과 전체 투자 성장률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함.

◦ 중국 기업들의 AI 기술 개발 현황과 차별화 전략
- 알리바바는 ‘통이(Tongyi)’ 시리즈 대규모 언어 모델과 ‘쿼크(Quark)’ AI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3월 6일 알리 클라우드(Alibaba Cloud)는 새로운 추론 모델인 ‘통이첸원(Tongyi Qianwen) QwQ-32B’를 출시하고 오픈소스화함. 이 모델은 더 작은 파라미터로 수학, 코딩 및 일반적 능력에서 딥시크-R1(DeepSeek-R1)과 대등한 성능을 보이며, 출시 당일 글로벌 주요 AI 오픈소스 커뮤니티인 허깅페이스(Hugging Face)의 트렌드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함.
- 쿼크는 3월 13일 AI 플래그십 애플리케이션으로 재출시되었으며, 알리바바 통이의 추론 및 멀티모달 대규모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경계 없는 AI 슈퍼 프레임'으로 업그레이드됨. 이는 AI 대화, 심층 사고, 심층 검색, 심층 연구, 심층 실행 등의 기능을 통합한 원스톱 AI 서비스 플랫폼임. 알리바바 쿼크 사업부 우자(吴嘉) CEO는 '경계 없는 AI 슈퍼 프레임'을 “전통적인 검색창 개념을 완전히 벗어나 개인 슈퍼 어시스턴트에 무한히 가까워진 개념”이라고 설명함.
- 텐센트는 자체 개발한 ‘훈위안(Hunyuan)’ 시리즈 모델과 오픈소스 모델의 결합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 훈위안 T1은 심층 사고 모델로 다차원 이해와 복잡한 논리적 추론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광고 타겟팅, 게임 개발 등 고부가가치 영역에 적용되어 광고 정확도와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킴. 훈위안 터보S(Turbo S)는 빠른 사고 모델로 첫 문자에 대한 응답 지연 시간을 44% 단축시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크게 향상시킴. 
- 한편, 텐센트의 AI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인 위안바오(Yuanbao)는 중요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2월부터 3월까지 위안바오의 일일 활성 사용자 수(DAU)가 20배 이상 증가해 중국 AI 네이티브 모바일 앱 DAU 순위에서 3위를 차지함. 또한 텐센트는 딥시크-R1 모델을 도입해 텐센트 클라우드(Tencent Cloud), 텐센트 문서(Tencent Documents) 등의 제품을 다양한 산업에 적용시켜 AI 기술의 보급과 산업 혁신을 촉진함.
- 중국 기업들은 자체 개발 모델과 오픈소스 활용을 병행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 알리바바 우용밍 CEO는 "현재 각 기업의 대규모 모델 간 차별성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오픈소스 모델과 클로즈드 소스 모델 간 경계도 점점 불분명해지고 있다"고 지적함. 이러한 상황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고 분석하며 "개방형 모델이든 폐쇄형 모델이든 대부분의 모델은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에 호스팅되어야 한다"고 강조함.

◦ AI 투자 확대에 따른 장기적 성장성과 AI 인재확보 경쟁
- 대규모 AI 투자는 기업의 단기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알리바바 우용밍 CEO는 향후 3년이 알리바바 그룹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자본 투자 기간이 될 것이며, 이러한 대규모 투자의 감가상각은 이익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공감함. 우용밍 CEO는 앞으로 3년간 총 3,800억 위안(약 75조 3,388억 원)을 클라우드 컴퓨팅 및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힘.
- 한편, 텐센트 최고전략책임자(CSO) 제임스 미첼(James Mitchell)은 자본지출 증가가 반드시 이익률 하락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밝힘. 그는 자본지출이 구체적인 비즈니스에 활용될 때 압박을 가져오기보다 상당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함. 올해 텐센트의 자본지출은 약 1,070억 위안(약 21조 2,084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AI 기술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기존 사업을 변혁시키고 있음. 텐센트의 비디오 계정은 AI 기술 접목을 통해 2024년 콘텐츠 품질과 수익 창출 양면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으며, AI 기반 추천 알고리즘 최적화로 4분기 광고 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함. 위챗(WeChat) 미니스토어도 AI 기술 도입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상품 거래 총액(GMV)이 2024년 1.92배 증가함. 
- 중국 IT 기업들은 AI 인재 확보 경쟁에도 적극 나서고 있음. 4월 9일 알리바바는 2026년도 봄 시즌 인턴 모집을 공식 진행하며 3,000개 이상의 포지션을 개방함. 이 중 AI 관련 포지션이 전체의 약 50%를 차지함. 또한 상하이교통대학(上海交通大学)과 같은 유수 대학과 협력해 AI 연구, 교과과정 개발, 인재 양성 등의 분야에서 다층적인 협력을 진행하고 있음. 텐센트도 우수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투자도 지속 늘리고 있음. 2024년 텐센트의 연구개발 투자는 706억 9,000만 위안(약 14조 157억 원)을 기록함.


[관련 뉴스 브리핑]

[참고 자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