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중국의 과학기술 수월성 교육: 에베레스트 계획, 중학생 영재계획, 기초강화 계획을 중심으로

조정원 소속/직책 :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교수 2025-04-17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1월 중국의 딥시크가 공개한 생성형 AI ‘R1’은 가격이 6만 달러인 엔비디아의 최신 GPU ‘H100’보다 저렴한 가격의 H800 2,048개를 사용해서 챗GPT와 동일한 성능을 보여줬다.1) ‘R1’은 사양이 낮은 반도체를 활용한 고성능 AI 검색엔진이라는 점에서 미국 중심의 AI 산업의 판도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그리고 ‘R1’은 해외유학 경험이 없는 중국 국내 대학의 인재들이 개발의 주역이고 중국이 미국의 대 중국 과학기술 관련 제재를 돌파하고 자력으로 기술혁신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도 전세계적인 화제가 되었다. 그리고 중국은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의 전세계 특허출원 건수에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1위를 차지하였고 WIPO의 2023년 기업별 특허출원 건수 상위 30개 기업들 중에 10개가 중국 기업들이었다.2) 특히 화웨이는 같은 해 6,494건의 특허출원 건수를 기록함으로써 WIPO의 기업별 특허출원 건수 세계 1위를 차지하였다.3) 이와 같은 중국의 과학기술 창업과 연구개발 성과들은 중국공산당의 지도자들이 개혁개방 이후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중시하는 기조가 지속되면서 중국 중앙정부와 주요 도시들의 지방정부가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수월성 교육을 꾸준히 시행하여 과학기술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지속적으로 배출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중국의 과학기술 수월성 교육의 시작은 개혁개방의 원년이었던 1978년 3월 물리학자 리정다오(李政道, 1957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가 중국과학기술대학에 만든 소년반이었다. 소년반은 13세의 과학기술에 자질이 있는 학생들을 모아서 영재교육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는 인재들을 효과적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경제성장과 도시화를 통한 중산층, 부유층 가정이 늘어나고 우수 학생들이 모이는 명문 중학교, 명문 대학의 입시가 치열해지면서 자녀의 과학기술 조기교육에 관심을 갖는 학부모들도 늘어나게 되었다. 중국의 도시 지역의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수월성 교육을 살펴보면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에는 학부모들이 자녀를 과학기술 인재로 만들기 위한 조기 사교육을 활용하고 초등학교에서는 수학, 과학 분야에 재능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영재교육반을 운영한다. 국내 언론에 보도된 바와 같이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서는 중국인민대학의 부속 교육기관인 인민대부속중학교의 자오페이반(早培班), 베이징8중학교의 팔소팔소반(八少八素班)이 10세에서 12세 사이의 우수 학생들에게 수월성 교육을 시행하면서 과학기술 영재 선발에서 우위를 확보하고자 경쟁을 하기도 한다.4) 이와 같이 초등학교에서 영재반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인민대부속중학교, 베이징8중학교 등의 베이징의 명문 중학교에 진학해서 수학, 과학 수월성 교육을 받고 중국의 명문 대학들의 과학기술 관련 전공에 입학하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중국의 다른 도시들에서도 수학, 과학 분야의 흥미와 자질을 갖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월성 교육을 실시해서 우수한 학생들이 모이는 중학교에 진학하고 중학교에서 과학기술 영재교육의 혜택을 받아서 중국의 우수 대학의 과학기술 관련 전공에 입학하는 학생들이 나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에베레스트 계획, 중학생 영재계획, 기초강화 계획을 중심으로 중국의 과학기술 수월성 교육의 현황과 특성, 성과를 진단하고 향후 중국의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수월성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 지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중국의 수월성 교육이 한국의 과학기술 인재양성 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에베레스트 계획

에베레스트 계획은 중국에서 2009년 중국 교육부가 재정부, 중앙조직부와 함께 추진한 기초학과 우수학생 양성 시범계획(基础学科拔尖学生培养试验计划)의 약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에베레스트 계획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한 시기는 2011년이다. 2011년에 중국 교육부는 수학, 물리학, 화학, 정보통신, 생물학 분야에서 기술혁신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베이징대학, 칭화대학, 베이징사범대학, 푸단대학, 상하이자오퉁대학, 난카이대학, 난징대학, 저장대학, 중국과학기술대학, 샤먼대학, 산둥대학, 우한대학, 중산대학, 쓰촨대학, 시안교통대학, 란저우대학을 에베레스트 계획 참여대학으로 선정하였고 2015년에는 중국과학원대학도 참여하여 기초과학 분야의 혁신 인재 양성 작업을 진행하였다.5) 2018년 9월 17일에 중국 교육부는 과학기술부, 재정부, 중국과학기술협회, 중국과학원, 중국사회과학원과 함께 에베레스트 계획 2기 사업 계획인 기초학과 우수학생 양성계획 2기에 대한 의견(教育部等六部门关于实施基础学科拔尖学生培养计划2.0的意见)을 내놓으면서 기존의 수학, 물리학, 화학, 정보통신, 생물학과 함께 천문학, 해양과학, 지구물리학, 대기과학, 지질학, 기초의학과 인문사회계열의 기초학문인 심리학, 철학, 경제학, 중국어문학, 역사학의 혁신인재 양성을 진행할 예정임을 공개하였다.6) 그리고 이듬해인 2019년에 중국 각지의 주요 대학에 16개 전공, 104개의 기초학문 우수인재양성기지를 개설하였다.7) 2021년 2월 5일에는 기초학문 우수인재양성기지의 성과를 토대로 기초학문 우수인재양성 2기 기지를 선정하고 기초학문에서 선도적인 역량을 발휘할 인재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8) 에베레스트 계획은 1기, 2기 사업을 진행하면서 수만 명의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성과를 창출했으나 에베레스트 계획에 참여하는 대학들의 학부 과정 입시와의 연계가 없기 때문에 참여 대학들이 특정 분야에서 천재성을 발휘하는 학생들을 직접 선발한 권한은 가질 수 없었다.9)

중학생 영재계획의 현황과 성과

중국 교육부와 중국과학기술협회는 개혁개방 이후 초등학교, 중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의 수요를 활용하여 과학기술 인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2013년부터 중학생 과학기술혁신 후속 인재 양성계획 (中学生科技创新后备人才培养计划, 이하 ‘중학생 영재계획’)을 시행하고 있다.10) ‘중학생 영재계획’은 우수한 학생들에게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기초과학 수월성 교육을 실시하고 중국 국내 대학 교수들, 전문가들과 만나서 교류하면서 대학의 교육 및 실험실을 활용하여 과학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11) 또한 ‘중학생 영재계획’은 과학기술 분야에 자질을 갖춘 중학생들과 중국의 주요 대학들 간의 매칭을 통해 우수 중학생들이 대학의 실험실을 활용하여 기초과학 연구의 실패와 성공에 이르는 과정을 경험하게 하고 새로운 이론과 방법,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게 하는 데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국의 주요 국립대학들 중의 하나인 베이징항공우주대학(北京航空航天大学)은 “중학생 영재계획”을 통해 소개받은 우수한 중학생들이 교내의 항공기 제어 일체화 기술 국가급 중점 실험실, 가상현실 기술 및 시스템 전국 중점 실험실을 사용하면서 최첨단 이론과 방법, 새로운 사고를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12) 그 외의 주요 대학들도 “중학생 영재계획”을 활용하여 과학기술 분야의 우수 중학생들에게 대학의 교수진, 대학원생들과 만나서 교육과 연구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대학에서 과학기술 공부와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우수한 학생들의 확보와 양성에 참여하고 있다. 
 
기초강화계획의 추진 현황과 성과

중국의 기초강화계획(强基计划)은 중국 교육부가 중국 주요 대학들이 기초학문 우수 학생들의 선발과 입학, 입학 후의 교육 및 인재 양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기초강화계획은 2020년 1월 중국 교육부가 일부 대학의 기초학과 입시개혁 시범업무에 대한 의견(教育部关于在部分高校开展基础学科招生改革试点工作的意见)을 공개하면서 시작되었다.13) 기초강화계획은 중국의 국가전략에 부응할 수 있는 반도체, 소프트웨어, 신소재, 첨단 제조업, 국가 안보 관련 과학기술 전공들과 학부 입학에서의 학생들의 수요 감소로 인하여 유능한 학문후속세대 양성의 어려움에 직면한 역사, 철학, 고문자학 전공을 중심으로 추진되었다.14) 그리고 베이징대학, 칭화대학, 중국인민대학, 저장대학, 푸단대학, 상하이교통대학, 베이징항공우주대학을 비롯한 중국의 39개 주요 국립대학이 참여하여 중국이 필요로 하는 기술혁신을 해낼 수 있는 인재의 육성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였다. 

중국 교육부는 기초강화계획에서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여러 분야에 응용되는 기초과학 분야인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에 우수한 자질을 보유한 인재의 입학을 유도하고 이들이 학부 4년 동안 기초과학 전공의 학업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게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교육부는 기초강화계획 참여 대학들이 기초강화계획을 통해 입학한 학생들에게 지도교수와 멘토의 학업 및 진로지도, 수월성 교육과 연구를 위한 소규모 클래스 교육을 시행하고 학업 성적이 우수할 경우 대학원 입학 무시험 추천, 석박사 통합과정 직행, 국비 해외유학, 장학금 등의 혜택을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중국 교육부는 기초강화 계획 시행 5년차인 2024년에 <표 1>에 나온 바와 같이 국가 차원의 수요가 있는 전공들을 운영하는 대학의 기초강화계획 추가 참여를 허가하였다.

<표 1> 2024년 중국 주요 대학들의 기초강화계획 신규 참여 전공 및 수요
자료: (2024). “三十九所高校陆续启动今年“强基计划”报名——强基计划实施四年成效如何”,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5月 13日.
http://www.moe.gov.cn:8080/jyb_xwfb/s5147/202405/t20240513_1130217.html (검색일: 2025.02.13.)
(2024). “强基计划启动报名 这些关键领域基础学科要关注”,央视新闻 客户端, 4月 16日.
https://content-static.cctvnews.cctv.com/snow-book/index.html?item_id=5462238480292268344 (검색일: 2024.04.16)

또한, 같은 해 중국 교육부는 기초강화계획 참여 대학들이 일부 기초과학 과목의 가오카오(高考, 중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우수 학생들에게 파격 입학(破格入围) 시행을 허가하였다. 베이징이공대학은 가오카오의 수학 과목 만점을 받은 학생은 가오카오의 다른 과목 점수와 관계없이 합격할 수 있게 했으며, 다롄이공대학의 일부 전공들은 가오카오의 수학, 물리, 화학 과목 중 한 과목의 성적이 우수한 수험생을 파격적으로 합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15) 이와 함께 중국 교육부는 기초강화 계획 참여 대학들이 가오카오의 기초과학 과목 성적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기초과학 우수 학생 선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로 인해 난카이대학, 하얼빈공업대학은 기초강화 계획 입시전형에서 수험생들의 수학, 물리 등의 가오카오 성적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우수 학생을 선발할 수 있었다.16)

기초강화 계획은 2025년에 시행 6년차가 되었지만 학부 졸업에 4년, 석박사 통합과정에 최소 6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아직 기초강화 계획으로 입학한 학생들 중에 박사학위까지 받고 전문가로 활동하는 사례들이 나오기는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기초강화 계획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 교육부에서 2024년 5월에 공개한 내용을 살펴보면 기초강화 계획을 통해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 학부 과정에서 기초 교육부터 자신이 선택한 전공의 지도교수의 연구과제 참여, 전공의 새로운 이론과 방법, 다르게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는 수월성 교육을 통해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학생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17) 그리고 일부 학생들은 학부 4년을 마치기 전에 대학원 진학으로 진로를 확정하고 자신의 전공 연구의 심화를 통한 난제 해결을 목표로 정하고 있다.18) 이와 같이 자신의 전공 학습과 연구에 매진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면 중국 교육부가 계획한 대로 중국이 필요로 하는 과학기술 분야의 인재 양성, 분야별 기술혁신을 통해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성과를 내는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배출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전망, 한국의 과학기술 인재양성 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

중국 교육부는 에베레스트 계획, 중학생 영재계획, 기초강화 계획을 추진하면서 국가가 필요로 하는 분야의 인재들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과학기술 분야에 자질이 있는 학생들이 수월성 교육을 통해 기술혁신을 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주요 대학들은 과학기술 관련 전공들에 흥미와 자질을 보유한 학생들에게 지도교수 및 멘토링 제도, 소규모 클래스, 국제학술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자신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우수 학생들이 초등학교, 중학교 때부터 과학기술 수월성 교육을 받으면서 과학기술 관련 전공들의 용도와 장점들을 체험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과 전공을 선택해서 학업과 연구에 매진하는 점도 중국 중앙정부와 중국 주요 대학들의 과학기술 인재양성 프로그램의 성과 창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로 인해 중국의 주요 대학들이 과학기술 분야의 역량있는 인재들을 지속적으로 배출하고 배출된 인재들이 여러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들을 내놓으면서 명예와 경제적 성취를 얻게 되어 중국의 우수한 청소년들이 과학기술 분야를 선택하는 계기를 제공하는 선순환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홍콩과학기술대학 전자컴퓨터공학 석사과정 재학 중에 DJI를 창업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드론 전문 기업으로의 성장을 주도한 왕타오(汪滔), 딥시크의 창업주 량원펑(梁文锋), 딥시크의 AI 개발자 뤄푸리(罗福莉)는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선진국들도 주목하는 유명 인사가 되고 그들이 자신의 전공에서의 전문성을 발휘한 성과로 인해 고소득자가 되었는데 이들에 대한 보도를 접하게 되는 과학기술 관련 전공 대학생들은 나도 과학기술 기반 창업이나 과학기술 연구개발에서 우수 성과를 창출하면 그들처럼 유명해지고 부유해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가지고 학업과 연구에 매진하는 대학생들이 많아지면 중국의 분야별 과학기술은 양적, 질적으로 더 나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2013년부터 중국의 국가주석으로 재직 중인 최고지도자 시진핑(习近平)이 기초과학 연구와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중시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의 추진을 지원하는 것도 중국의 과학기술 인재 정책의 안정적인 시행과 유능한 과학기술 인재의 지속적인 배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19)

중국의 과학기술 수월성 교육의 성과는 한국의 과학기술 인재양성에도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은 우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 수월성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제도와 교육 기반은 갖춰져 있지만 최근 적지 않은 고등학생들이 의과대학 진학을 희망하고 대학의 이공계 전공 선택에는 소극적인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 1960년대 경제개발이 시작된 이후 다수의 우수 학생들이 기초과학, 공학의 여러 전공에 지원해서 과학기술의 양적, 질적 성장과 경제발전에 기여해 왔던 한국의 강점이 약화될 수 있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우수한 학생들의 대학 진학이 의대로 편중되는 경향을 완화하고 과학기술 관련 전공들에 지원해서 학업과 연구에 매진하는 분위기를 회복하려면 과학기술 연구개발을 선택하는 인재들이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면 주택 문제와 노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와 대학, 연구기관, 기업들이 연구개발 지원 체계, 연구개발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과학기술 기반 창업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유망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한 인재들은 언론 보도와 중앙정부의 관련 부처의 홍보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선망의 대상으로 부각됨으로써 우수한 청소년들이 국내 대학의 과학기술 관련 전공에 더 많이 지원할 수 있게 유도할 필요가 있다. 


---
*각주
1) 김영은 (2025). “반도체 이어 AI까지 식칼신공…중국산 딥시크, 게임체인저 될까”, 한경 BUSINESS, 2월 9일.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2067968b (검색일: 2025.02.12)
2) 이희권 (2024). “화웨이 7년 연속 세계 특허 1위…'톱30'에 中∙日 10곳, 韓 3곳 뿐”, 중앙일보, 3월 22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7060 (검색일: 2025.02.12)
3) Ibid.,
4) 이벌찬 (2025). “中 비평준화의 힘… 영재 조기 발굴, 기술 인재로 키운다”, 조선일보, 2월 7일.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2/07/5DRMUC4YORENTPDH4MK2BOSFRM/  (검색일: 2025.02.15.)
5) (2022). “基础学科拔尖学生培养试验计划”,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E5%9F%BA%E7%A1%80%E5%AD%A6%E7%A7%91%E6%8B%94%E5%B0%96%E5%AD%A6%E7%94%9F%E5%9F%B9%E5%85%BB%E8%AF%95%E9%AA%8C%E8%AE%A1%E5%88%92/3486963 (검색일: 2025.02.13.)
6) 教育部·科技部·财政部·中国科学院·中国社会科学院·中国科协 (2018). “教育部等六部门关于实施基础学科拔尖学生培养计划2.0的意见”, 教育部, 9月 17日. https://www.gov.cn/zhengce/zhengceku/2018-12/31/content_5443537.htm (검색일: 2025.02.14)
7) (2022). “基础学科拔尖学生培养试验计划”,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E5%9F%BA%E7%A1%80%E5%AD%A6%E7%A7%91%E6%8B%94%E5%B0%96%E5%AD%A6%E7%94%9F%E5%9F%B9%E5%85%BB%E8%AF%95%E9%AA%8C%E8%AE%A1%E5%88%92/3486963 (검색일: 2025.02.13.)
8) (2021). “教育部公布第三批基础学科拔尖学生培养计划2.0基地名单”,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11月 29日. http://www.moe.gov.cn/jyb_xxgk/s5743/s5744/A08/202111/t20211129_583154.html (검색일: 2025.02.13.)
9) 张保淑 (2020). “强基计划:人才战略“复兴号””, 人民日报海外版, 7月 13日, 09版.
10) (2024). “中学生英才计划:不拘一格育人才”, 中国科学技术协会, 9月 23日. https://www.cast.org.cn/kc/zxsycjh/tw/art/2024/art_84a74679cb5343919a264b5967b980b2.html (검색일: 2025.02.18.)
11) (2024). "英才计划”十年探索:不拘一格培养“未来科学家”, 中国青少年科技教育工作者协会, 3月 18日. https://cacsi.org.cn/gzdt/zgkxjsxhdt/art/2024/art_755549dbf76a4b9d934959a6c49e3e43.html (검색일: 2025.02.18.)
12) Ibid.,
13) 张保淑 (2020). “强基计划:人才战略“复兴号””, 人民日报海外版, 7月 13日, 09版.
14) (2025). “强基计划”, 北京市人民政府. https://www.beijing.gov.cn/zhengce/zcjd/zcwd/qjjh/ (검색일: 2025.02.12)
15) (2024). “三十九所高校陆续启动今年“强基计划”报名——强基计划实施四年成效如何”,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5月 13日. http://www.moe.gov.cn:8080/jyb_xwfb/s5147/202405/t20240513_1130217.html (검색일: 2025.02.13)
16) (2024). “中国新闻网:今年强基计划迎来哪些新变化?”, 华南理工大学 新闻网, 4月 19日. https://news.scut.edu.cn/2024/0418/c44a48796/page.htm (검색일: 2025.02.13)
17) (2024). “三十九所高校陆续启动今年“强基计划”报名——强基计划实施四年成效如何”,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5月 13日. http://www.moe.gov.cn:8080/jyb_xwfb/s5147/202405/t20240513_1130217.html (검색일: 2025.02.13)
18) 龚旗煌 (2023). “在大科学时代勇担使命”, 求是网, 6月 20日. http://www.qstheory.cn/qshyjx/2023-06/20/c_1129706990.htm (검색일: 2025.02.11)
19) 习近平 (2023). “习近平:加强基础研究 实现高水平科技自立自强”, 中华人民共和国 中央人民政府, 7月 31日. https://www.gov.cn/yaowen/liebiao/202307/content_6895642.htm (검색일: 2025.02.13)

참고문헌
(2021). “教育部公布第三批基础学科拔尖学生培养计划2.0基地名单”,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11月 29日. http://www.moe.gov.cn/jyb_xxgk/s5743/s5744/A08/202111/t20211129_583154.html (검색일: 2025.02.13.)
(2022). “基础学科拔尖学生培养试验计划”,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E5%9F%BA%E7%A1%80%E5%AD%A6%E7%A7%91%E6%8B%94%E5%B0%96%E5%AD%A6%E7%94%9F%E5%9F%B9%E5%85%BB%E8%AF%95%E9%AA%8C%E8%AE%A1%E5%88%92/3486963 (검색일: 2025.02.13.)
(2023). “强基计划”走入第四个年头:招生选拔有哪些新变化”, 《光明日报》, 6月 13日 , 13版.
(2024). “强基计划启动报名 这些关键领域基础学科要关注”,央视新闻 客户端, 4月 16日. https://content-static.cctvnews.cctv.com/snow-book/index.html?item_id=5462238480292268344 (검색일: 2024.04.16)
(2024). "英才计划”十年探索:不拘一格培养“未来科学家”, 中国青少年科技教育工作者协会, 3月 18日. https://cacsi.org.cn/gzdt/zgkxjsxhdt/art/2024/art_755549dbf76a4b9d934959a6c49e3e43.html (검색일: 2025.02.18.)
(2024).“三十九所高校陆续启动今年“强基计划”报名——强基计划实施四年成效如何”, 中华人民共和国 教育部, 5月 13日. http://www.moe.gov.cn:8080/jyb_xwfb/s5147/202405/t20240513_1130217.html (검색일: 2025.02.11)
(2024). “中国新闻网:今年强基计划迎来哪些新变化?”, 华南理工大学 新闻网, 4月 19日. https://news.scut.edu.cn/2024/0418/c44a48796/page.htm (검색일: 2025.02.13)
(2024). “中学生英才计划:不拘一格育人才”, 中国科学技术协会, 9月 23日. https://www.cast.org.cn/kc/zxsycjh/tw/art/2024/art_84a74679cb5343919a264b5967b980b2.html (검색일: 2024.02.18.)
(2025). “强基计划”, 北京市人民政府. https://www.beijing.gov.cn/zhengce/zcjd/zcwd/qjjh/ (검색일: 2025.02.12)
龚旗煌 (2023). “在大科学时代勇担使命”, 求是网, 6月 20日. http://www.qstheory.cn/qshyjx/2023-06/20/c_1129706990.htm (검색일: 2025.02.11)
教育部·科技部·财政部·中国科学院·中国社会科学院·中国科协 (2018). “教育部等六部门关于实施基础学科拔尖学生培养计划2.0的意见”, 教育部, 9月 17日. https://www.gov.cn/zhengce/zhengceku/2018-12/31/content_5443537.htm (검색일: 2025.02.14.)
唐芊尔 宋笑语 (2024). “实施四年的“强基计划”,今年有何新变化”, 清华大学, 6月 18日. https://www.tsinghua.edu.cn/info/1182/112246.htm (검색일: 2025.02.16)
万玉凤 (2020). “强基计划:变·改·试”, 清华大学, 1月 16日. https://www.tsinghua.edu.cn/info/1182/50678.htm (검색일: 2025.02.16.)
张保淑 (2020). “强基计划:人才战略“复兴号””, 人民日报海外版, 7月 13日, 09版. 
김영은 (2025). “반도체 이어 AI까지 식칼신공…중국산 딥시크, 게임체인저 될까”, 
한경 BUSINESS, 2월 9일.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2067968b (검색일: 2025.02.12)
이벌찬 (2025). “中 비평준화의 힘… 영재 조기 발굴, 기술 인재로 키운다”, 조선일보, 2월 7일.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2/07/5DRMUC4YORENTPDH4MK2BOSFRM/  (검색일: 2025.02.15.)
이희권 (2024). “화웨이 7년 연속 세계 특허 1위…'톱30'에 中∙日 10곳, 韓 3곳 뿐”, 중앙일보, 3월 22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7060 (검색일: 2025.02.1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