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이슈 & 트렌드

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이슈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美 엔비디아 H20 수출 재개와 中 AI 칩 생태계의 질주

안희정 소속/직책 : EC21R&C 연구원 2025-07-1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미국이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승인하며 4개월간 중단되었던 공급이 재개되었으나 기존 재고 위주의 조건부 방식으로 진행됨. 한편 화웨이 어센드 플랫폼이 H20급 성능을 달성하는 등 중국 자체 AI 칩 기업들이 급속히 성장하며 2024년 상반기 중국 AI 칩 시장에서 20%의 점유율을 확보했음. 2025년 중국 AI 하드웨어 시장 규모는 처음으로 1조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5년간 연평균 18%의 고성장을 지속할 전망임.

◦ 미국의 엔비디아 H20 칩 중국 수출 허가 승인
- 미국 정부가 2025년 7월 엔비디아(NVIDIA)의 H20 칩 대중국 수출을 재승인하면서 4개월간 중단되었던 공급이 재개되었음.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CEO는 7월 15일 중국 국영방송 CCTV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수출 허가를 승인했으며, H20 GPU 칩을 중국 시장에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곧 H20을 출하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고 밝힘.
- H20 칩은 엔비디아가 미국의 수출 통제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호퍼(Hopp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중국 시장 전용으로 개발한 AI 가속 칩임. 주로 분야별 모델의 훈련과 추론에 활용되어 중국 AI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음. 다만 H20의 연산 성능은 엔비디아의 최고급 제품인 H100 AI 칩이나 이전 중국 전용 모델인 H800보다 낮게 설계되었음.
- 이번 H20 칩 공급 재개는 주로 기존 재고 위주로 이뤄질 전망임.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H20은 재고 물량만 개방되며, 현재 계획은 재고 소진 후 추가 공급은 없다"는 조건부 재개 방식으로 진행됨. 엔비디아는 2026 회계연도 1분기에 H20 재고와 구매 계약으로 인해 45억 달러(약 6조 2,6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으나, 이번 재개로 일부 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젠슨 황 CEO는 올해 세 번째 중국 방문을 통해 중국 시장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었음. 7월 16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国际供应链促进博览会)에 처음으로 공식 참석하여 중국 전통 의상을 입고 중국어로 인사하는 등 이례적인 친화적 제스처를 보임. 그는 "중국 시장은 매우 크고 활력이 넘치며, 전 세계 AI 연구 인력의 50%가 중국에 있다"며 "미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 뿌리내리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강조함. 특히 화웨이(Huawei), 딥시크(DeepSeek), 텐센트(Tencent), 샤오미(Xiaomi) 등 중국 주요 테크 기업들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협력 의지를 드러냄.

◦ 중국 자체 AI 칩 기업들의 급속한 성장과 경쟁 심화
- 화웨이 어센드(Ascend) 플랫폼이 멀티칩 패키징과 광통신 모듈 기술을 통해 H20에 준하는 서버급 연산 성능을 달성했음. 화웨이 어센드 공식 발표에 따르면 자사 AI 하드웨어 플랫폼이 알리바바(Alibaba)의 '큐원(Qwen)' 대형 언어모델 전체 라인업과의 완전한 호환을 구현했으며, 70억 매개변수의 큐원-7B(Qwen-7B)부터 1,000억 매개변수의 큐원-72B(Qwen-72B)까지 전면적 최적화를 완료했음.
- 바이두 인텔리전트 클라우드는 '치엔판(Qianfan)' 대형 언어모델 플랫폼을 통해 고객들이 원클릭으로 ‘원신(Wenxin)’ 대형 언어모델을 어센드 하드웨어에 배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텐센트 클라우드 역시 자사 '훈위안(Hunyuan)' 대형 언어모델을 어센드 서버와 결합하여 정부 및 기업 고객 대상 통합 솔루션을 출시했음.
- 엔비디아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플랫폼의 소프트웨어 생태계 우위와 중국 자체 생태계 구축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젠슨 황은 "엔비디아의 우위는 하드웨어가 아닌 CUDA 플랫폼 기반의 소프트웨어 호환성 생태계에 있다"고 강조했음. 현재 업계에서는 산업별 모델 수요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중국 연산력 인프라에 맞는 생태계 구축이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IDC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중국 AI 가속 칩 시장 총 규모가 90만 개를 넘어섰으며, 이 중 중국 자체 AI 칩 브랜드의 출하량이 약 20만 개로 전체 시장의 20%를 차지했음. 이는 중국 현지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에 실질적인 도전장을 내밀고 있음을 의미함. 공업신식화부(工信部) 정보통신경제전문가위원회의 판허린(盘和林) 위원은 "중국이 연산력 칩 분야에서 이미 국산 대체재를 확보했다"고 평가함.

◦ 중국 AI 하드웨어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향후 전망
- 중국 시장조사기관 런투(RUNTO)에 따르면 2025년 중국 AI 하드웨어 시장(AI 스마트폰, AI 자동차 제외) 규모가 1조 1,020억 위안(약 213조 4,000억 원)으로 예상되면서 처음으로 1조 위안(약 193조 6,50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됨. 이는 2024년 9,718억 위안(약 188조 1,800억 원) 대비 13.4% 증가한 수치임. 소비자 대상(B2C) AI 전자 하드웨어 시장이 4,610억 위안(약 89조 2,700억 원), 기업 및 정부 대상(B2B, B2G) 공공서비스 AI 하드웨어 시장이 6,410억 위안(약 124조 1,200억 원)으로 구성될 전망임.
- AI 기술의 소비자 전자제품 침투율이 급속히 상승하고 있음. 중국 내 전통 가전 시장에서 AI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침투율은 이미 90%에 달했으며, AI TV 침투율은 70%를 돌파하여 화질 개선, 시청 추천, 음성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 AI 주방가전 침투율은 30%를 넘어 반조리식품 스캔 요리, 실시간 연기 감지 등의 기능을 지원함. AI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의 종합 침투율은 20%에 달해 식재료 인식, AI 절수, AI 절전 등의 기능을 구현하고 있음.
- IT 디지털 제품 분야에서는 AI 노트북 기종 침투율이 50%, AI 스마트 태블릿 기종 침투율이 76%에 달하며, 건강·운동·안전 관련 AI 대형 언어모델을 결합한 웨어러블 기기인 AI 워치, AI 밴드의 침투율이 85%를 넘어섰음. AI 이어폰의 판매 기종은 작년 45개에서 올해 77개로 증가했으며, AI 안경은 전자기기 탑재 안경 중 판매량 침투율이 65%에 달하고 있음. AI 도어록의 침투율은 25.4%로 상승했고, AI 카메라의 침투율은 26%에 도달했음.
- 향후 5년간 중국 AI 하드웨어 시장은 연평균 18%의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됨. 이러한 성장의 주요 동력은 정책 지원, 기술 혁신, 응용 분야 확대, 자본 투자 등 네 가지 요소로 분석됨. 특히 2024년 중국 내 AI 관련 투자 규모가 약 380억 위안(약 7조 3,500억 원)이었으나, 2025년에는 800억 위안(약 15조 4,900억 원)으로 약 두 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딥시크 대형 언어모델이 현재 200여 개 기업의 서비스에 연결되는 등 기술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정부의 정보기술응용혁신 정책을 중심으로 한 국산화 대체가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음. 장기적으로 AI 하드웨어는 각 산업 분야와의 깊은 융합을 통해 궁극적으로 AI 주도 산업 발전을 실현할 것으로 전망됨.


[관련 뉴스 브리핑]

[참고 자료]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中 11차 의약품 공동구매서 최저가 폐지하고 혁신약 보호 강화 2025-07-1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