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 브리핑

뉴스 브리핑

매일 중국에서 발행하는 언론사의 최신 뉴스를 요약·번역하여 제공합니다.

뉴스브리핑

2015년 중국 31개성 CPI 상승률 순위 공개

2016-01-25

□ [이슈] 2015년 중국 31개 성의 GDP 상승률 데이터가 모두 공개됨

 

□ [구체적 내용]

 

○ 2015년 중국 CPI 동기 대비 1.4% 상승
- 중국의 2015년 CPI는 동기 대비 1.4% 상승했고, 12월 CPI는 동기 대비 1.6%, 전월 대비 0.5% 상승함.
- 2015년 도시 CPI 상승률은 1.5%, 농촌은 1.3%임.
- 식품가격은 2.3%, 담배와 주류는 2.1%, 의복은 2.7%, 가정 설비 용품 및 보수는 1.0%, 의료 보건 및 개인용품은 2.0%,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문화 용품 및 서비스는 1.4%, 거주는 0,7% 상승했고, 교통 및 통신은 1.7% 하락함.
- 식품 중 식량 가격은 2.0%, 돼지고기는 9.5%, 채소는 7.4% 상승했고, 유지류는 3.2% 하락함.
- 2015년 PPI는 동기 대비 5.2% 하락했고, 12월 PPI는 동기 대비 5.9%, 전월 대비 0.6% 하락함.
- 2015년 생산자 구매가격지수는 동기 대비 6.1% 하락했고, 12월 지수는 동기 대비 6.8%, 전월 대비 0.7% 하락함.

 

○ 전국 CPI 상승률 상회하는 지역 17곳
- 중국 31개 성 중 2015년 중국 CPI 상승률인 1.4%를 상회하는 지역은 총 17곳으로, 칭하이(青海), 상하이, 시짱(西藏, 티베트), 윈난(雲南), 베이징, 구이저우(貴州), 푸젠(福建), 텐진(天津), 장쑤(江蘇), 지린(吉林), 간쑤(甘肅), 광둥(廣東), 후베이(湖北), 장시(江西), 광시(廣西), 쓰촨(四川), 저장(浙江) 순임.
- 상반기에 비해 CPI 상승률이 가장 크게 확대된 지역은 저장과 광둥임.
- 2015년 상반기 저장의 CPI는 동기 대비 0.91% 상승하여 31개 성 중 26위를 기록했으나, 연말에 저장의 CPI는 동기 대비 1.41%의 상승률로 전국 17위를 기록함.
- 2015년 상반기 광둥의 CPI는 동기 대비 1.21% 상승하여 21위를 기록했으나 연말 CPI는 동기 대비 1.55%의 상승률로 전국 12위를 기록함.

 

○ 1위칭하이, 신장 최하위
- 2015년 CPI 상승률 1~3위는 칭하이, 상하이, 시짱 3곳으로, 전국에서 2%대를 기록한 지역은 해당 3곳뿐임.
- 그 중 칭하이의 CPI 상승률은 2.62%로 전국 최고 수준이며, 상하이 2.42%, 시짱 2% 순임.
- 2014년 2%대의 CPI 상승률을 기록한 지역은 16곳이었고, 최대 상승률은 29%였음.
- CPI 상승률 전국 최하위는 신장(新疆)으로, 0.57%를 기록함.
- 칭하이는 작년 10월 전까지 물가 상승률이 14개월 연속 1위를 기록하다가 10월에 2% 이하를 기록하여 7위로 밀려났고, 11월에 5위로 올라섰다가 12월에 다시 11위로 밀려남.
- 칭하이 지역은 대부분의 상품을 외부에서 수입하는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가격 상승 통제가 어렵기 때문에 14개월 연속 물가 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함.
- 칭하이 성 정부는 CPI 상승률의 고공행진과높은 식품 가격에 대응하여 임시 가격 개입, 소•양고기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가격 보조금 지원, 외부 성에 대량 상품 공급원 확보 등의 조치를 통해 가파른 물가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가격 상승 압박을 완화시킴.

 

□ [분석 및 전망]

 

○ 주바오량(祝寶良) 국가정보센터(國家信息中心, SIC) 경제예측부 주임
- 2015년 중국 경제의 안정 속 둔화세, 국내 유가 연속 하락 등의 요인이 물가의 완만한 상승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임.

 

○ 중국 교통은행 금융연구센터
- 최근 몇 년동안 대두, 벼, 쌀, 밀, 옥수수 등 식량 수입량이 크게 늘어났음.
- 국제 식량 가격이 중국 국내 가격을 크게 하회하여, 국내 관련 상품 가격 상승을 제약함.
- 국제 벌크상품(원자재) 가격 하락 지속 및 중국 국내 경제 여건 약화로 비식품 가격이 상승 동력을 잃음.
- 경제 성장 동력은 3차 산업으로 이전되어, 서비스 가격이 안정적으로 운영됨.
- 현재 거시경제 환경에서는 전반적으로 저인플레가 유지되어 명확한 물가상승요인이 나타나지 않을 것임.
- 심각한 외부 타격과 경제 변동이 없을 경우, CPI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지 않을 것임.
- 통화정책이 신중한 기조 속에서 다소 완화 쪽으로 기울어져, 유동성 공급이 2016년 CPI 소폭 상승을 이끌 것이나, 전반적으로 저인플레 상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음.

 

 

출처: 2016.01.21./中國經濟網/편집문
원문 제목: 2015年31省CPI涨幅榜排行出炉仅3省处于“2时代”

 


※ 원문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서 해당 언론사의 메인페이지 링크를 제공하오며, 해당 기사 제목으로 검색하시면 원문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