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 브리핑

뉴스 브리핑

매일 중국에서 발행하는 언론사의 최신 뉴스를 요약·번역하여 제공합니다.

뉴스브리핑

中 물 절약 행동 방안 발표, 관련 산업 육성할 계획

2019-04-22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중국 정부가 수자원 절약을 위한 행동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할 뜻을 내비쳤음.

 

⚪ 최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改委)는《국가 절수 행동 방안(国家节水行动方案, 이하 ‘방안’)》을 발표하고 수돗물 이용자의 규정 위반 기록을 중국 전체 신용정보 공유 플랫폼에 포함하기로 함.

- 《방안》은 중국은 인구가 많고 수자원이 부족한 데다 수자원의 시공간적 분포가 불균형하고 공급과 수요의 괴리가 두드러진다고 지적함.

- 또, 사회적으로 수자원 절약 의식이 부족하고 수자원 이용이 조방적이며 낭비가 심각해 수자원 이용 효율이 선진국 수준과 비교하면 큰 격차가 있다면서, 수자원 부족은 중국의 생태 문명 건설과 경제·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제약이 되고 있다고 꼬집었음. 

 

⚪ 《방안》은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행동 조치를 명확히 제시함.

- 그 중에 하나가 공업용수를 절약하고 유해 물질 배출량을 줄이는 조치임. 

- 구체적으로는 산업 분야의 수자원 절약을 대대적으로 추진해, 수자원 연간 사용량이 1만 입방미터(㎥) 이상인 공업기업에 대한 용수계획 관리를 전면 시행하기로 함.

- 수자원 소모가 높은 업종에 대한 절수 효과를 확대하고, 2022년까지 △ 화력발전 △ 철강 △ 방직 △ 제지 △ 석유화학 공업 △ 식품 및 발효 등 수자원 소모가 높은 업종에서 ‘절수형 기업’을 육성하기로 함.

- 또, 수자원 선순환과 단계적 이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2022년까지 수자원 절약 모범 기업 100곳, 수자원 절약 모범 산업단지 50곳을 구축한다는 목표도 내놨음.

 

⚪ 이밖에도 수자원 소모가 높은 서비스 업종의 수자원 사용도 엄격하게 통제한다는 방침임. 

- △ 목욕 △ 세차 △ 골프장 △ 인공 스키장 △ 세탁 △ 숙박 등 업종의 수자원 이용 쿼터를 엄격히 통제하고, 용수 선순환 기술과 설비를 적극적으로 보급하며 재활용수와 빗물 등 비(非) 일반적인 수자원을 우선적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임.

 

⚪ 《방안》은 물 부족 중점 지역의 절수와 수원(水源) 개발에도 주력할 것을 명시함.

- 연해 지역에서는 해수(海水)를 충분히 활용하고 연해 지역에서도 물 부족이 심각한 도시의 경우, 해수를 담수화(淡水化)하는 작업을 통해 수자원을 확보할 것을 요구함. 또, 핵심 기술 설비 연구개발을 통해 수자원 절약 기술 보급을 촉진하며 기술 성과를 산업화할 것을 제시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