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 브리핑

뉴스 브리핑

매일 중국에서 발행하는 언론사의 최신 뉴스를 요약·번역하여 제공합니다.

뉴스브리핑

中 철강업계 ‘생산능력·생산량’ 이중 통제 속 올해 시장 호조 기대

2021-02-1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0년 4분기 큰 폭으로 올랐던 강재 가격은 춘제(春节·음력 설)를 전후로 소폭 하락했으나 강재 가격은 여전히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이러한 가운데, 다수 요인이 올해 중국 철강업계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키우고 있음. 

◦ 란거강톄왕(兰格钢铁网)의 천커신(陈克新) 애널리스트는 △ 중국 철강업계의 생산설비 및 생산량 이중 통제 정책이 시행되고 △ 거시경제 고속 성장 및 미 달러 가치의 지속적인 평가절하가 대세론으로 굳어진 것 등의 영향 속에 올해 중국 철강 시장 수요가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함. 
- 국제통화기금은 지난 1월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 내용을 수정, 올해 중국 경제와 글로벌 경제가 각각 8.1%, 5.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며, 특히 중국과 미국의 회복세가 가장 두드러질 것이라고 분석함. 
- 이에 관해 천커신은 “새해, 중국 국내외 경제가 눈에 띄게 회복될 것이고, 이는 중국 강재 수요의 안정적 증가에 기반을 다져줄 것”이라고 설명함. 

◦ 지난해 미 달러 가치는 큰 폭으로 절하됐음. 이는 중국 철강 생산 및 물류 비용 상승을 부추기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됨.  
-  천커신은 “다방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절하 폭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미 달러가 올해도 계속해서 평가절하될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전망이다. 미 달러의 평가절하는 철광석 등 국제 시장의 철강 제련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해운 가격 상승을 부추기며, 중국 국내 물류비용 상승을 부추긴다. 그렇게 되면 결국 중국 철강 및 완제품 건축재의 생산비용·물류비용이 올라가고, 이는 새해 중국 강재 시장 가격이 고점을 유지하는 중요한 지지력이자 강재 시장이 계속해서 가열되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라고 설명함. 

◦ 중국 당국은 지난해 말 이후 철강 생산량 감축을 여러 차례 강조하며, 올해 조강 생산량의 동기 대비 감소를 실현할 것이라고 밝힘. 
- 일례로 공업정보화부는 2월 8일 공식 사이트에《계속해서 분투·전진하여 철강업계 고품질 발전의 신 장정을 열다(继续奋斗勇往直前开启钢铁行业高质量发展新征程)》를 발표했음. 여기에는 2021년 철강업계의 공급측 구조개혁 심화를 중심으로 생산능력 과잉 해소 업무를 계속해서 잘 처리하고,《철강업계 생산능력 치환 실시 방법(钢铁行业产能置换实施办法)》을 제정 시행하며, 철강업계 신규 생산설비를 엄격히 금지할 것이라는 내용이 언급됨. 
- 란거강톄왕의 왕징(王静) 애널리스트는 “조강 생산 과잉 해소는 철강업계의 수급 구도를 개선하고, 다운스트림에 대한 가격 협상 능력을 끌어올릴 것이며, 나아가 강재 가격을 지탱할 것”이라고 설명함. 
- 왕징은 “올해 강재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량 감축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은 수출 축소 및 수입 확대로 보완할 것이다. 중국 국내 강재 시장과 해외 시장 간의 가격 차이는 수출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다. 해외 시장 가격이 중국 국내 가격보다 높은 현재 상황은 수입에 불리하다. 강재 수요를 늘리기 위해서는 가격 차이를 축소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 또한 중국 국내 강재 가격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분석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