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 브리핑

뉴스 브리핑

매일 중국에서 발행하는 언론사의 최신 뉴스를 요약·번역하여 제공합니다.

뉴스브리핑

中 반려동물 산업 5년간 2배 증가

2021-06-25

□ 중국 CCTV 차이징(央视财经)에 따르면, ‘6.18’ 예약판매 2일간, △ 반려동물 식품 △ 반려동물용품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예약판매에 참여한 고객은 전년 동기 대비 3.5배 증가함. 6월 18일 0시를 기점으로 개장한 지 15분 만에 △ 반려동물 스마트용품 △ 반려동물 간식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배, 2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20년 중국 반려동물산업백서(2020年中国宠物行业白皮书)에 따르면, 중국 반려동물시장 규모는 2020년 2,065억 위안(약 36조 원)으로 2019년 대비 2% 성장함. 2016년 중국 반려동물시장 규모는 1,220억 위안(약 21조 원)이었음. 2016년~2020년, 약 5년 동안 반려동물 시장규모는 거의 2배로 증가했고, 연간 복합성장률은 10%를 넘었음.
-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는 “소비 고도화가 이루어지면서 반려동물 경제도 고도화를 겪고 있다. 반려동물의 의식주도 세분화된 발전 추세를 보이며, 해당 산업은 전반적으로 다양하면서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반려동물 △ 식품 △ 용품 △ 의료 △ 미용 등 시장도 더 확대될 것이다”라고 전망함. 
-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은 2021년 중국 반려동물 시장규모가 2,289억 위안(약 40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함.
- 룽하오(龙灏) 진딩캐피털(金鼎资产) 회장은 “국민 생활 수준이 제고되면서 90허우(90后·90년대 이후 출생자)가 주축인 반려동물 인구가 증가했다. 과학적인 측면의 사육의식이 향상하면서 구매력·니즈가 향상되어 반려동물 식품 산업은 장기적인 발전이 가능성을 보인다. 현재 중국 반려동물용품 산업은 △ 기업 브랜드 △ 실력 △ 공급체인의 정비가 제고되야 하며, 향후 핵심 능력을 갖춘 대표기업이 출현할 것이다. 투자 논리 측면에서 보면, 제품판매 채널과 브랜드를 개선한 대표기업이 인수합병(M&A)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것이며, 궈훠(国货, 국산 제품)는 ‘황금기’를 맞이할 것이다”라고 분석함.
- 류요우화(刘有华) 사모펀드파이파이왕(私募排排网) 연구총괄은 “반려동물 테마주는 △ 강력한 확실성 △ 커다란 성장공간 △ 경기 호조세를 띄고 있는 업종이다. 향후 반려동물 테마주는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 고령화 △ 결혼·출산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면서 함께 시간을 보내거나 심리적인 요인으로 반려동물을 키우려고 한다. 또한, 국민 소비능력이 제고됐고, 반려동물의 위상도 상승하면서 소비의 고도화를 이끌고 있다”라며 “그중에서도 반려동물 식품은 △ 강력한 수요 △ 높은 구매 빈도라는 특성 때문에 가장 눈여겨보고 있다”라고 언급함.

◦ 중국의 반려동물 사육자가 반려동물 식품을 더욱 중시하면서, 반려동물 식품시장이 확대되고 있음. 
-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중국 반려동물 식품은 반려동물 시장에서 60.6%의 비율을 차지함. 2020년 중국 반려동물 식품의 소비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3.9% 증가함. 현재 중국에서 가장 많이 기르는 반려동물은 강아지로, 강아지 건식사료는 중국 반려동물 식품시장의 주요 제품임.
- 유로모니터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반려동물 식품의 소비구조는 △ 강아지 건식사료 △ 고양이 건식사료 순으로 소비가 가장 많았고, 2020년 반려동물 식품 총판매금액에서 각각 41.9%, 31.3%를 차지함.


참고기사: 둥팡차이푸왕(东方财富网) http://finance.eastmoney.com/a/202106231971216264.html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