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연구정보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중국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합니다.

연구보고서

한류의 현주소와 확산 방안

김은영/김정덕/장상식 수석연구원 2015-08-18

한류의 현주소와 확산 방안

- 인터넷 검색량 및 동호회 활동을 중심으로


Abstract

 

저성장 시대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이 부상하고 있으며 우리 문화콘텐츠 산업 성장의 중심에‘한류’가 있다.

세계 검색엔진 시장의 9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구글 검색량(K-POP, 영화)과 한류 동호회 활동을 이용하여 최근 한류 현황을 살펴 본 결과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한류 붐이 크게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 후반 형성된 1차 한류 지역인 중국, 일본, 아세안 지역은 중국을 제외하고는 한류가 둔화 또는 하향 추세이고, 2012년 말 가수 PSY의 인기로 인해 확대된 2차 한류 지역에서도 중남미·중동 지역의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성장 모멘텀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류 관련 소비재 수출은 1차 한류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성장세인데 반해, 2차 한류 지역에서는 한류가 아직 소비패턴에까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한류 콘텐츠 산업의 부가가치 및 고용유발 효과는 제조업을 크게 상회했으며 전후방연관효과도 여타 서비스업에 비해서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콘텐츠의 수출이 10% 증가 시 전체 소비재 수출은 0.18% 증가하고 외국관광객 유입규모는 약 0.22%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한류의 경제적 효과가 지대한 만큼 지속적인 한류 확산을 위한 우리 한류 기업의 전략적 접근과 함께 이를 뒷받침하는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 한류 콘텐츠 기업들은 한류가 주로 마니아층 중심으로 확산되는 만큼 현지 문화와의 접점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고 제조업 등과의 異업종과 연계한 마케팅 강화, 원거리 제약 요건을 극복할 수 있는 간접공연 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PSY의‘강남스타일’인기를 기점으로 확산된 2차 한류 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한류의 확산을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핵심콘텐츠 개발이 매우 중요하나, 규모가 영세한 대부분의 우리 문화콘텐츠 업체는 신규 콘텐츠 개발 및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제작 투자에 대한 세제·금융 지원확대, 영국과 일본의 아레나와 같은 전문대형 공연장 구축 등의 인프라 구축, 그리고 해외 진출 시 현지국의 각종 규제 완화 지원 등이 요구되고 있다.

 

Contents

 

Ⅰ. 왜 한류인가?

Ⅱ. 인터넷 검색량 등을 통해 본 최근 한류 현황

  1. 개요

  2. 지역별 최근 한류 현황

  3. 한류와 소비재 수출 동향

Ⅲ.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Ⅳ. 요약 및 시사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