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연구정보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중국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합니다.

동향자료

중국의 2016년 경제운용 방향 평가와 한국의 대응

임호열, 양평섭, 박민숙, 김영선, 조고운 2016-03-16

Abstract

 ▶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제12기 4차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2016년 3월 5~16일 개최, 리커창 총리의 ‘정부 업무보고’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의 ‘국민경제와 사회발전계획 초안 보고’를 통해 2016년 거시경제 운용방향을 발표하고 13차 5개년 규획(2016~2020년)을 심의·확정함.
 
▶ 2016년 중국의 거시경제 운용방향은 안정적 성장과 공급 측 구조개혁을 기본방침으로 하며, 적극적 재정정책과 안정적 통화정책을 통해 6.5~7.0%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한다는 입장
 - 특히 2016년에는 최저 성장률(6.5%)을 유지하는 데 역점을 둘 것이며, 이를 위해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을 3.0%(2015년 2.4%)로 확대하고, 총통화(M2) 및 사회총융자 규모를 각각 13% 확대
 - 향후 중국경제는 당분간 L자형 성장패턴을 보일 것이며, 추가적인 지준율과 금리 인하가 예상됨.
 
▶ 중국 전인대에서 ‘13차 5개년 규획 강요(2016~2020년, 13.5 규획)’가 심의·확정됨.
 -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2020년)까지 ‘샤오캉(小康) 사회’ 건설을 목표로 13.5 기간 연평균 6.5% 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함으로써 2020년까지 GDP와 1인당 국민소득을 2010년 대비 두 배로 확대
 - 향후 5년간 신흥산업 중심의 산업 재편, 도시화와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경제구도 변화, 핵심분야 개혁을 통한 제도 환경 변화,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과정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 등이 기대
 
▶ 중국의 내수와 수출 부진으로 한국은 대중 수출 둔화세를 단기간 내에 극복하기 어려울 것이며, 중장기적으로도 중국의 전통제조업 국산화와 중간재 자급률 확대, 신성장동력 산업에서의 한·중 경쟁 심화 등으로 애로 불가피
 - 2016년에도 경기요인(중국 내수 및 세계경기 부진 → 중국 수출 부진)과 구조적 요인(한국의 가공무역 중심 수출구조)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한국은 향후 단기적으로는 한·중 FTA 활용을 위한 후속조치, 지리적 근접성을 활용할 수 있는 농식품, 화장품 등 소비재의 수출촉진 등으로 중국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소득향상에 따른 수요 변화, 산업구조 고도화 등에 맞추어 공급능력을 배양하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임.
 - 13.5 기간에 추진될 일대일로, 중국제조 2025, 인터넷+, 농업현대화, 서비스업 육성 등 중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중장기 대중 투자 확대, 대중 수출기회 포착 등을 위한 노력 강화가 긴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