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보
Home 연구정보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중국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합니다.
중국산 공정기계 내수·수출시장 점유율 확대 중
2020-01-22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록 자료의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관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中 공정기계 판매량 전 세계 시장점유률 40%로 세계 1위 -
- 시장 변화 추세에 따라 대응전략 필요 -
□ 중국 공정기계 정의 및 범위
ㅇ 정의: 주로 국방, 교통운수, 에너지공업건설 및 생산, 광산 등 원료공업 건설 및 생산, 농림수리건설, 공업 및 민용건축, 도시건설, 환경보호 등 영역에 사용되는 기계를 총칭함.
ㅇ 범위: 굴삭기, 기중기, 노면기, 콘트리트기계, 착암기 등 일반 건설 방면에 쓰이는 기계 및 철도선로기계, 도시유지관리 및 환경위생 기계, 군용작업기계 등도 포함(출처: 바이두)
□ 중국 공정기계 시장 규모 및 동향
ㅇ 전 세계 기중기계망(全球起重机械网)에 따르면 2017년 중국의 공정기계 매출액은 5400억 위안에 달하고 2018-2020년은 6,0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함.
- 중국의 공정기계 시장은 미국을 넘어서서 전 세계 최대 공정기계 시장을 형성함.
- 중국의 공정기계 판매량은 전 세계 공정기계 시장에서 40%의 점유율을 차지함.
- 중국 공정기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제품으로는 굴착기(挖掘机), 크레인(起重机), 화물적재기(装载机), 콘크리트 기계(混凝土设备), 불도저(推土机), 로드 롤러(压路机)가 있음.
- 중국공정기계협회(中国工程机械协会)에 의하면 굴착기는 중국 공정기계 시장의 57% 이상을 차지하며, 절대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음. 2019년 1~6월까지 13만7000대의 굴착기를 생산했고, 이는 전년대비 14.2% 증가한 수치임. 그중 국내 판매량은 12만3000대, 수출량은 1만2000대로 각각 12.3%, 38.7%의 성장률을 보였음.
- 2017년 크레인 판매량은 전년대비 86.57% 증가했으며, 2018년은 4만6400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48.44% 증가함.
- 2018년 로드롤러 판매량은 1만8400대로 전년대비 5.48% 증가함.
- 2018년 불도저 판매량은 7600대로 전년대비 33.17% 증가함.
ㅇ 중국 관세청(海关总署)통계에 의하면 2019년 1~3분기 중국 공정기계 수출입액은 182억2900만 달러로 전년대비 35% 증가함. 그중 수입액은 72억 달러로 전년대비 16.8% 증가했고 수출액은 110억2800만 달러로 전년대비 50.2% 증가함.
- 공정기계 부품 수출액은 38억 9000달러로 수출액의 35.25%를 차지하고 전년대비 48.88% 성장함.
- 공정기계 수출액은 71억4000만 달러로 수출액의 64.75%를 차지하고 전년대비 51% 성장함.
ㅇ 2018년 후난성의 공정기계 매출액은 1660억 위안으로 중국 내 공정기계산업 총 매출액의 약 26%를 차지함. 중국 내에서 가장 큰 공정기계 제조산업 기지임.
- 후난성 공업의 정보화장비부 처장 마톈이(马天毅)에 의하면 2018년 후난성 공정기계 산업의 성장률은 17.3%, 매출액은 10.1%, 순이익은 98.7%의 증가치를 보임.
- 콘크리트기계의 생산량은 전 세계의 80%를 차지하며, 대직경전단면경암터널굴착기(大直径全断面硬岩隧道掘进机)의 생산량은 67%를 차지함. 크레인과 굴착기 생산량이 중국 1위임.
ㅇ 현재 전 세계 공정기계 50대 기업 중에서 4개의 기업과 중국 내 공정기계 5대 기업 중 3위의 기업이 창사에 있음.
- 싼이중공, 중롄중커, 톄젠중공 등 6개의 대형기계기업과 41개의 중요 협력회사가 있음. 또한 7개의 산업기술전략혁신연맹과 국가콘크리트기계 공정기술연구중심 등 국가급 혁신 플랫폼이 있음.
ㅇ 2015~2018년 후난성 내 16개의 기업이 국가 지능화 제조 시범구로 선정됐으며, 27개의 항목을 주제로 함. 이는 중부지역 6개의 성 중에서 2번째로 많은 수치임.
ㅇ 2019년 이후로 기초 인프라 건설, 설비 교체 등의 수요 증가, 환경보호 트렌드 강화 등의 요인으로 후난성 공정기계 산업은 양호한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음.
ㅇ 중국공정기계협회에 따르면 2018년 전 세계 공정기계 시장 점유율 기준 20대 기업 중 3개사가 포함됐음.
- 3개의 기업은 쉬공기계(徐工机械), 싼이중공(三一重工), 중롄중커(中联重科)그룹으로 각각 6위, 8위, 13위를 차지함.
□ 참고
ㅇ 기초 인프라 건설에 대한 투자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이에 따라 2019년에는 공정기계 산업 모든 분야에서 전년대비 10%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됨.
ㅇ 공정기계산업 전문가는 향후 중국 공정기계 시장은 5G 기술과 산업 인터넷 등을 융합해 비정형화(柔性化生产), 자동화(自动化生产), 디지털화(数字化)된 스마트 시대로 변화할 것으로 내다봄.
- 싼이중공 회장 량원건(梁稳根)은 ”향후 10년, 디지털화와 스마트화는 중국 내 각 산업을 석권할 것임이 분명하다. 현재 싼이중공은 스마트 제조의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힘쓰고 있다.”라고 함.
ㅇ 궈진증권(国金证券)에 따르면 2019-2021년에 큰크리트기계(混凝土机械)는 굴착기에 이어 공정기계 산업에서 핵심기계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함.
- 2019년 콘크리트 펌프카의 판매량은 전년대비 30%를 넘었으며, 2020-2021년은 연평균 성장률 20-30%를 유지할 것으로 보임.
- 향후 5년간 콘크리트 크레인(混凝土起重机)과 트럭 콘크리트 믹서(混凝土搅拌车)의 성장률은 연 1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이동식 크레인(轮式起重机), 크롤러 크레인(履带式起重机), 그레이더(平地机), 콘크리트 페이버(摊铺机)는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됨.
- 로드 롤러(压路机)와 적재기(装载机)는 시장이 포화상태이기 때문에 성장률은 미미할 것으로 보임.
출처: 궈진증권(国金证券)보고서, 공정기계관찰망(工程机械观察), KOTRA 창사 무역관 자료 종합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 | |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