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연구정보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중국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합니다.

연구보고서

글로벌 원자재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와 시사점

김기봉,이치훈 2022-02-18

ㅁ [이슈]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글로벌 원자재시장에서의 수요가 더욱 공고해진 가운데 공급측면에서의 영향력도 확대되면서 중국에 편중된 글로벌 수급 구조가 심화
    ㅇ 작년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철광석, 천연가스 등 주요 원자재 수입 규모가 40% 이상 급증하면서 글로벌 원자재 소비에서 중국 비중이 50%를 상회
    ㅇ 원자재 공급 측면에서도 마그네슘·텅스텐 등 제조업에 활용되는 주요 30개 광물 중 중국이 66%의 품목에서 최대 공급자로 부각(2위 남아공 9%, 3위 콩고 5%, 4위 미국 3% 등)

ㅁ [배경] 글로벌 원자재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된 것은 중국 정부가 ‘두 개의 시장과 두 개의 자원 전략’※의 일환으로 해외자원 확보 노력을 이어간 데 이어, 최근 첨단산업 자립 정책도 미중분쟁을 거치면서 대폭 강화된 데 주로 기인
    ※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얻은 자원을 먼저 소모한 뒤, 국내자원은 안보 등을 위해 보호하면서 자국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
    ㅇ (해외자원 확보) 중국 정부가 십수년간 일대일로 등을 내세워 아프리카·남미 등에 적극 진출. 특히 지난해 관련 해외직접투자(FDI) 규모는 120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
    ㅇ (첨단산업 자립도 제고) 미국·대만과의 갈등으로 반도체 등 기술산업의 위탁생산 환경이 악화되었으며,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도 지역화되면서 첨단 원자재 확보 필요성이 고조

ㅁ [영향 및 시사점] 향후 중국이 자원 무기화를 추진하고 그 과정에서 각국의 자원 민족주의를 자극하면서 국제 정치·경제 질서의 불안요인으로 부각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
    ㅇ (중국의 원자재 확보 전략 지속) 중국의 만성적 에너지 부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탈탄소화 정책까지 가세하면서 니켈 등 신규로 소요되는 원자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전망
    ㅇ (중국의 자원무기화 가능성) 중국이 기업 대형화 및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 특히 열세인 반도체 대응을 위해 희토류 등 여타 광물공급을 제한하고, 가격결정력도 높일 가능성
    ㅇ (각국의 자원민족주의 확산) 최근 코로나 팬데믹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과거 사례와 같이 자원 국수주의 및 진영 갈등을 초래하는 현상이 뚜렷. 향후 자원 관련 분쟁이 지정학적 리스크로 전이되는 현상이 빈번해질 소지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