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연구정보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중국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합니다.

연구보고서

미ㆍ중 간 경제적 갈등 과정에서 세계경제에 대한 양국의 영향력 변화: 한국 부가가치 창출에 있어 영향력 및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김완중 2025-01-09

본 연구는 세계투입산출표 분석을 통해 미국의 중국 견제 정책 이후 세계경제에서  중국 영향력 확대 억제라는 미국의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그리고 한국경제에 대한 양국의 영향력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했는지를 부가가치 창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양국 최종수요가 창출하는 부가가치액이 세계 총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트럼프 대통령 집권 마지막 해인 2020년에 중국의 그 비중은 오히려 확대되고, 미국의 비중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바이든 대통령 집권 2년 차 말이었던 2022년 중국의 그 비중은 소폭 하락한 반면 미국의 비중은 소폭 확대되었다. 둘째, 부가가치 창출에 있어 중국이 미국에 비해 여타 국가 최종수요로부터 더 많은 파급효과를 얻고 있고, 양국 간 그 격차는 더 커졌다. 셋째, 트럼프 집권 직전 해인 2016년과 집권 마지막 해인 2020년을 비교했을 때 한국 부가가치 창출액 증가에 있어 중국보다는 미국의 영향력 확대 폭이 더 커지기는 했으나, 외국 중 중국은 한국 부가가치 창출에 있어서 여전히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2016년과 바이든 대통령 집권 2년 차인 2022년을 비교했을 때도 비슷하였다. 넷째, 2016~2020년, 2016~ 2022년 한국 부가가치 증가액 변화의 대부분은 글로벌 생산분업 관계와 같은 구조적 요인 변화보다는 세계 최종재수요 변화 요인에 기인했다. 미국의 견제에도 불구하고 세계경제에서 중국 위상에는 큰 변화가 없으며, 한국 부가가치 창출에 있어 중국 기여분 역시 높게 유지되고 있는바, 한국경제의 안정과 성장을 위해 안정적인 한중 간 통상관계 유지는 여전히 중요하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