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 이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견해 및 제언이 담긴 칼럼을 제공합니다.

중국 선전(深圳)시의 신질생산력 발전 방향

박소희 소속/직책 : 산업연구원 박사 2024-12-31

지역 여건에 따른 신질생산력 발전 가속화

신질생산력(新质生产力)은 2023년 9월에 시진핑(习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헤이룽장(黑龙江)성 시찰 당시에 제기한 개념이다. 이후 2024년 3월에 신질생산력이 처음으로 ‘정부업무보고’에 삽입되고 2024년 최우선과제로 제시되는 등 신질생산력은 중국 경제산업정책을 관통하는 키워드로 부상하였다. 
 
특히 중국지도부는 지역별로 상이한 산업적 여건을 고려하여 신질생산력을 발전시킬 것을 강조하면서, 중국 내 모든 지역에서 신질생산력 발전에 기여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2023년 9월에 신질생산력 개념이 제기된 이후 2024년 9월까지 발표된 중국의 신질생산력 관련 정책을 살펴보면, 신질생산력 발전의 중점 추진 분야에 전략적 신흥산업 및 미래산업의 육성뿐만 아니라 전통산업의 최적화 및 고도화(첨단화, 지능화, 녹색화 발전), 디지털 경제의 혁신 발전 등이 포함됨을 알 수 있다.2) 

중국 광둥(广东)성에 위치한 선전(深圳)시 역시 지역의 여건에 따라 신질생산력 발전에 속도를 내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선전은 첨단 기술 혁신과 신산업 및 미래산업 발전에 있어서 뛰어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신질생산력 발전의 핵심이 (파괴적인) 과학기술의 혁신과 첨단 기술의 확보인 만큼, 선전이 중국 전체의 신질생산력 발전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으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신질생산력 발전을 위해 선전이 어느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1. 중국 10대 과학기술 혁신경쟁력 도시(2024)

 

순위

도시명

1

선전(深圳)

2

광저우(广州)

3

쑤저우(苏州)

4

항저우(杭州)

5

우한(武汉)

6

난징(南京)

7

허페이(合肥)

8

청두(成都)

9

시안(西安)

10

닝보(宁波)

자료 : 赛迪顾问(2024), 2024中国城市科技创新竞争力研究.

: 직할시 제외.

 

선전시 신질생산력 정책의 키워드, ‘20+8’

선전은 신질생산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중앙정부 정책을 기반으로 선전시의 지역적 여건을 고려하여 시정부 차원에서 정책을 마련하고 주요 추진 분야와 발전 방향을 구체화하였다. 올해 발표된 선전의 신질생산력 관련 정책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20+8’이다. ‘20+8’이란 AI, 반도체 및 집적회로, 네트워크 및 통신 등을 포함하는 20개의 전략적 신흥산업 클러스터와 8개의 미래산업을 뜻한다.

2024년 1월에 공개한 ‘선전시 정부업무보고’3) 에서 선전은 2024년에도 ‘20+8’ 발전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첨단 제조업 센터 건설과 신질생산력 발전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신형거국체제의 선전 경로를 제시하면서, 과학기술의 자립 자강을 실현하기 위해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 반도체 및 집적회로, 바이오의약을 비롯한 중점 분야의 연구개발계획을 실시하며 150개의 기초연구 중점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 등을 언급하였다. 아울러 혁신에 대한 기업의 장기 투자를 지원하는 정책체계도 개선할 것이라 명시하였다.

2024년 3월에는 선전시 공업정보화국이 ‘신질생산력 발전 가속화와 전략적 신흥산업 클러스터 및 미래산업 고품질 발전 추진 실시 방안4)을 발표하였다. 동 방안은 신질생산력을 정책 명에 직접적으로 명시하고, 전략적 신흥산업 클러스터 발전과 미래산업 육성(‘20+8’)을 통해 신질생산력 발전을 가속화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를 위한 중점과제로는 유형별 육성 발전, 중점 방향 조정 및 최적화, 혁신 체계 건설 강화, 응용 시나리오 확장 등이 제기되었다. 선전은 경쟁력을 보유한 전략적 신흥산업과 미래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여 지역 여건에 따른 신질생산력 발전을 추진하여 세계적인 첨단제조센터와 산업과학기술혁신센터로 거듭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선전의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 역시 ‘20+8’ 중점 산업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11월에 선전시 과학기술혁신국은 ‘2024년도 기초연구 특별(선전시자연과학기금) 중점 프로젝트 신청 지침’5)을 공포하고 자금 지원 분야와 규모, 방식 등을 규정하였다. 동 지침에 따르면 올해 기초연구 특별 중점 프로젝트의 자금 지원 분야는 ‘20+8’ 중점 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 수학, 과학, 차세대 정보 및 컴퓨팅 기술 등이다. 자금 지원은 프로젝트 당 최대 200만 위안까지 가능하다.

선전시 기업의 신질생산력 발전 노력: 화웨이 사례

중국 내 자료6)에 따르면 선전의 사회 전체 연구개발 투자는 GDP의 5.81%를 차지하는데, 그중에서 대부분(94.9%)의 투자가 기업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전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많은 기업 중에서도 글로벌 ICT 기업인 화웨이(华为)는 선전의 기술혁신과 산업 발전을 견인해 온 대표적인 기업이다. 

2. 중국 선전시 10대 혁신기업(2024)

 

순위

기업명

1

화웨이(华为投资控股有限公司)

2

비야디(比亚迪股份有限公司)

3

ZTE(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4

폭스콘(富士康工业互联网股份有限公司)

5

럭스쉐어(立讯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6

마인드레이(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7

위뱅크(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8

NWY그룹(心里程控股集团有限公司)

9

티안마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10

선와다전자(欣旺达电子股份有限公司)

자료 : 搜狐(2024. 10. 4).7)


신질생산력 발전을 위한 화웨이의 노력은 기초연구 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기초연구는 첨단 기술 제품의 개발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므로 신질생산력 발전의 핵심인 파괴적인 기술혁신의 기반이자 신산업과 미래산업의 발전 기반이라고 할 수 있다. 화웨이는 기초연구를 강화하여 신질생산력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2023년도 연차보고서’8)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 3년간 연 매출의 20%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였으며, 수학과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하는 등 기초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산업 발전의 병목 현상을 돌파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5G 기술, 칩, 양자컴퓨팅, 바이오의약 등 분야를 중심으로 기초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화웨이가 기초연구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창업주인 런정페이(任正非)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이다. 런정페이 회장은 예전부터 기초연구의 중요성에 주목해 왔다. 기초연구의 특성상 성과를 얻기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고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도 불확실하지만, 그는 매년 기초이론연구에 약 30억~50억 달러를 투자하고 국내외 대학과의 협력을 진행해오고 있다. 화웨이의 5G 특허 기술은 튀르키예의 아리칸(Arikan) 교수가 쓴 수학 논문에서 영감을 받아 현실화9) 한 대표적인 기초연구 성과이다. 화웨이는 매년 기초연구 분야에 200억 위안 이상을 투자하고 전 세계에 26개의 연구개발센터를 지었으며 700여 명의 수학자, 800여 명의 물리학자 등 약 6,000명에 달하는 기초연구 분야의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런정페이 회장이 주목한 ‘무용한 지식의 유용함’10)을 현실화하는 화웨이의 혁신경쟁력의 원천이다.

맺음말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선전은 ‘20+8’로 신질생산력 정책과 조치를 구체화하면서 초점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선전 신질생산력 발전에 있어서 핵심 플레이어인 화웨이는 당장 성과를 내기 어렵지만 기술혁신과 산업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기초연구 분야에 꾸준히 자원과 노력을 투입해왔고 앞으로 기초연구를 더욱 강화해 나갈 전망이다.

중국 과학기술부11)에 따르면, 2024년 과학기술 지출 예산은 2023년 집행액 대비 73.2% 감소하였다. 그러나 2024년 11월에 중국은 17년 만에 국가자연과학기금조례를 개정하여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을 가속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12)에 따르면, 2024년 과학기술 지출 중 기초연구 항목의 예산은 2023년 집행액 대비 15.7% 증가하였다. 특히 기초연구 항목의 세부 항목인 과학기술 인재팀 구축에 대한 2024년 예산은 2023년 집행액 대비 140%나 증가하였다.

2025년, 중국은 미국 트럼프 2.0 시대의 시작과 내수 부진 등 대내외 도전에 대응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핵심 지역인 선전과 선전의 대표적인 기업인 화웨이는 신질생산력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신산업 및 미래산업에 초점을 맞춰 기초연구를 강화하여 기술과 산업경쟁에서의 지속가능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기술 자립과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국의 핵심 지역과 기업의 전략적 행보에 앞으로도 계속 주목해야 할 것이다. 

---

1) 본고는 “중국 웨강아오대만구의 신질생산력 발전 현황과 시사점”, 「중국산업경제 브리프」 통권 122호(2024년 11월호), 산업연구원을 바탕으로 논의를 확장하여 작성하였다.
2) 박소희(2024), “중국 신질생산력 정책의 동향과 시사점”, 「월간 KIET 산업경제」, 9월호, 산업연구원.
3) 「政府工作报告——2024年1月30日在深圳市第七届人民代表大会第五次会议上」.
4) 深圳市工业和信息化局, 「关于加快发展新质生产力进一步推进战略性新兴产业集群和未来产业高质量发展的实施方案」.
5) 深圳市科技创新局, 「关于发布《2024年度基础研究专项(深圳市自然科学基金)重点项目申请指南》的通知」.
6) 深圳市科技创新局(2024. 1. 26), “深圳:以科技创新之进 拓产业创新之路”.
7) 搜狐(2024. 10. 4), “创新能力大比拼!2024年深圳创新公司排名:第一名没有任何悬念”.
8) 华为投资控股有限公司(2024), 「2023年年度报告」.
9) 网易(2020. 6. 16), “华为最大的担忧,不是芯片供应问题,而是这个最不起眼的领域”. 
10) 财富(2023. 4. 3), “任正非为什么如此重视基础科学?”.
11) 科学技术部(2024), 「科学技术部2024年度部门预算」.
12) 国家自然科学基金委员会(2024), 「国家自然科学基金委员会2024年度部门预算」.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