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동향세미나] 중국, 구리 공급망 안정을 위한 정책 발표

김주혜 소속/직책 :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중국팀 전문연구원 2025-03-10

☐ 최근 중국 공업정보화부 및 11개 부처는 공동으로 ‘구리 산업의 고품질 발전 시행 방안(2025~27년)’(이하 시행 방안)을 발표함.1)

- 중국 정부는 구리 산업 공급망의 탄력성과 안보 수준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

 ㅇ △기초원료의 보장 능력 강화(2027년까지 구리 광석 자원량 5~10% 증가, 재활용 수준 향상) △기술 혁신 역량 강화(핵심 공정 및 신소재 발전, 고급 장비의 제조 능력 향상) △기업 육성

 - 시행 방안은 구리 공급망 단계2) 중 채굴(원광)과 재활용(스크랩)을 중심으로 한 기초원료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제련 단계에서는 신규 및 확장 프로젝트에 대한 규제 추진


표 1. 시행 방안의 주요 내용

자료: 工业和信息化部等十一部门(2025), 「铜产业高质量发展实施方案(2025—2027年)」.


☐ 전 세계 제련 구리의 약 50%를 생산하고 있는 중국은 과도하게 확장된 제련 생산능력을 조정하고, 기초원료의 안정적인 확보를 기반으로 내부 공급망의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함.

 - 구리가 에너지 전환(전기차, 태양광⋅풍력 발전 등) 및 디지털 전환(AI 관련 데이터 센터 등) 시기의 전략 자원으로 부상하면서, 세계 수요가 확대(2022년 대비 2032년 1.6배 증가 전망)되었고3) 중국의 제련 생산능력도 급격히 증가함.

 ㅇ 내연기관차의 대당 평균 구리 사용량은 20kg이고, 전기차는 83kg임.

 ㅇ 2023년 북미 데이터 센터 기준, 적용 전력 1MW당 27,000kg의 구리를 사용4)

- 2024년 제련 구리 기준 중국은 세계 최대 생산국이자 최대 소비국이지만, 기초원료인 정광의 수입의존도가 90%를 상회5)

 ㅇ 2023년 기준 중국의 구리 매장량은 세계 매장량의 4.1%, 국내 광산 생산량은 7.7%에 불과

 - 2024년 세계 정광 공급 불안정과 중국 제련 생산능력의 공격적인 확장에 기인한 내부 기업 간 경쟁 심화로, 구리 제련 수수료가 10년 사이 최저치로 급락했고 제련기업의 수익성이 악화6)

ㅇ △2023년 12월 세계 10대 구리광산인 파나마(중국의 정광 6위 수입국)의 코브레 광산 폐쇄와 △세계 최대 구리 생산업체인 칠레(중국의 정광 1위 수입국)의 코델코 구리 생산 불안정 등으로 인해, 2024년 세계 정광 공급이 부족했음.


☐ 중국 정부는 시행 방안의 추진을 통해 기초원료의 자체 조달을 확대하려고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해외 구리 스크랩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중국 구리 제련 산업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될 전망 

 - 2025년에도 전 세계 구리 정광의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7) 중국은 구리 스크랩 수입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임.

 ㅇ 2023년 중국의 대세계 구리 스크랩 수입액은 전년대비 5.5% 증가했고, 2024년에는 22.5% 증가

 - 이와 함께 2025년 중국의 구리 제련 수수료도 2024년보다 하락해8) 제련기업 수익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의 규제까지 더해져 구조조정이 불가피

 - 올해 한국 구리 제련기업과 중국 기업 간 정광 확보 경쟁이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이며, 또한 2024년 한국의 대중국 스크랩 수출액도 전년대비 174% 증가하면서 스크랩을 사용하는 국내 구리 제조업체가 물량 부족을 겪기도 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9)


---

1) 工业和信息化部等十一部门(2025), 「铜产业高质量发展实施方案(2025—2027年)」; 「《铜产业高质量发展实施方案(2025—2027年)》解读」(2025. 2. 12), 中国政府网.

2) 

* 스크랩은 다시 기초원료로 활용되어 구리 정광 부족을 보완할 수 있음.

3) NH투자증권(2023), 「에너지 전환시대, 더 많은 금속이 필요하다.」.

4) 「Distribution of copper consumed by data centers in North America as of 2023, by application」, statista.

5) 한국광해광업공단 데이터

6) 「《铜产业高质量发展实施方案(2025—2027年)》的政策解读」(2025. 2. 25), 联合资信; 「严控铜冶炼产能,十一部门发布铜产业三年规划」(2025. 2. 12), 21经济网.

7) 「COMMODITIES 2025: China to turn up heat in copper processing even as global output lags」(2025. 1. 6), S&P Global.

8) 「Antofagasta, Jiangxi agree major drop in 2025 copper TC/RCs」(2024. 12. 6), Reuters.

9) KITA 무역데이터; 「銅맥경화…中 수집상, 고물상 돌며 구리 스크랩 '싹쓸이'」, 한국경제.

게시글 이동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동향세미나] 트럼프 2기 행정부 추가 관세부과에 대한 중국의 대응 2025-02-25

목록